바둑규칙
국내에서 치러지는 바둑시합은
(재)한국기원이 제정한 "한국기원 바둑규칙"의 적용을 받습니다.
(재)한국기원이 제정한 "한국기원 바둑규칙"의 적용을 받습니다.
제1조
바둑경기란
두 선수(편)가 정해진 규칙에 따라 흑과 백의 바둑돌을 바둑판의 교차점에 교대로 한 수씩 놓은 후
집과 잡은 돌을 더해 그 합이 많은 쪽이 이기는 경기입니다.
제2조
바둑의 용구
- 제1항 바둑판
- 바둑판에는 가로·세로 19줄의 평행선이 있으며, 선으로 이루어진 361개의 교차점이 있습니다.
- 제2항 바둑돌
- 바둑돌은 흑돌 181개와 백돌 180개가 표준입니다.
- 제3항 바둑통
- 1. 바둑돌을 담는 도구입니다.
- 2. 통의 뚜껑은 잡은 돌을 보관하는데 사용합니다.
제3조
바둑돌 놓기(착점)
- 제1항
- 흑이 먼저 놓습니다.
- 제2항
- 서로 교대로 한 수씩 교차점에 놓습니다.
- 제3항
- 반상에 돌이 닿은 곳을 착점으로 합니다. 만약 돌이 닿은 곳이 교차점이 아닐 경우 돌이 닿은 곳에서 가장 가까운 교차점을 착점으로 합니다.
- 제4항
- 한번 놓은 돌은 다른 곳으로 움직일 수 없습니다.
제4조
돌의 활로
- 제1항 활로
- 돌의 바로 옆에 직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교차점을 활로라고 합니다. (<참고도 1>의 X 표시)
<참고도 2>와 같이 연결된 돌의 활로는 각 돌의 활로를 합한 것입니다.
참고도 1, 참고도 2
- 제2항 따냄
- 아래 그림과 같이 상대방의 활로를 모두 막은 경우 활로가 없는 돌은 판에서 들어냅니다.
이처럼 들어내는 행위를 ‘따냄’이라 합니다.
참고도 3 백이 흑을 판에서 들어냅니다.
제5조
놓을 수 없는 곳
(착수금지)
아래 <참고도 4-1>과 <참고도 4-2>처럼 착수 시 활로가 없는 곳은 돌을 놓을 수 없습니다.
상대방이 따내는 형태가 되기 때문입니다.
그러나 아래 <참고도 4-3>과 <참고도 4-4>처럼 상대방의 돌을 따낼 때에는 놓을 수 있습니다.
참고도 4-1, 참고도 4-2, 참고도 4-3, 참고도 4-4
제6조
돌의 삶과 죽음
- 따낼 수 없는 돌은 산 것이고, 따낼 수 있으면 죽은 것입니다.
- 제1항
- <참고도 5>에 있는 흑돌은 두 개의 활로가 있는데, 이 두 곳이 다 백이 놓을 수 없는 곳입니다. 그러므로 이 흑돌은 살아있습니다.
- 제2항
- <참고도 6>에 있는 흑돌도 두 개의 활로가 있지만, 백이 놓으면서 활로를 없앨 수 있습니다. 그러므로 이 흑돌은 죽은 것입니다.
참고도 5, 참고도 6
제7조
패
흑과 백이 상대방의 돌 한 개를 번갈아가며 따낼 수 있는 형태를 패라고 합니다. 이 경우에는 다른 곳에 한 번 이상 놓은 다음(팻감 쓰기)에 패를 따낼 수 있습니다. (<참고도 7-1~7-3> 참조-백1 또는 흑A의 곳)
참고도 7-1,
참고도 7-2(백이 먼저 따냄), 참고도 7-3(당장은 흑A 불가)
제8조
집과 공배
- 제1항
- 살아 있는 돌로 에워싼 공간이 집이며, 선의 교차점 하나가 한 집입니다.
- 제2항
- 흑과 백의 집이 생겨날 수 없는 자리를 공배라고 합니다. (x의 곳)
공배도 한 수씩 교대로 놓아야 합니다.
참고도 8-1, 참고도 8-2, 참고도 8-3, 참고도 8-4
제9조
빅
빅은 흑과 백이 한 곳 이상의 공배를 사이에 두고 대치하여 서로 따낼 수 없는 형태이다.
빅은 집계산에서 제외한다.
참고도 11
제10조
동형반복
- 동형반복이란 일정한 수순이 경과된 후 최초와 동일한 형태로 되돌아가는 것을 말합니다.
- 제1항 쌍방 반복이 가능한 경우
- 쌍방이 반복하면 무승부로 처리합니다.
참고도 12(3패), 참고도 13(장생), 참고도 14(순환패),
두개의 양패(참고도 15, 16, 17), 참고도 18(3점 장생)
- 제2항 한쪽만 반복이 가능한 경우
- <참고도 19>와 <참고도 20> 같은 경우 흑이 반복하면 무승부로 처리합니다.
참고도 19, 참고도 20
제11조
끝맺기
연속넘김(pass)
더 이상 둘 곳이 없다고 여기면 상대방에게 의사 표시를 해야 합니다. (예, “계속 두세요.” 등)
이때 상대방이 두면 경기는 계속되지만, 상대방 역시 두는 순번을 넘기면 돌의 사활을 해당 부분만 분리해서 다룹니다.
이후 더 둘 곳이 없으면 경기를 끝맺습니다.
제12조
계가와 승패의 결정
- 제1항
- 각자 잡은 돌로 상대방의 집을 메웁니다.
- 제2항
- 집이 많은 쪽이 이깁니다.
부칙
본 규칙은 (재)한국기원의 ‘바둑규칙’ 내용을 기반으로 정리되었습니다.